조건문 - if
조건문은 조간식과 문장을 포함하는 블럭 {}으로 구성이 되어 있고, 조건식의 연산결과에 따라 실행할 문장이 달라서 프로그램의 실행흐름을 변경 할 수 있는 것이다.
조건문은 if문과 switch으로 나눠지는데 주로 if문을 많이 사용한다. 처리할 경우의 수가 많을때는 switch을 사용한다고 하는데 나는 if문이 좋다.
if문
if문은 가장 기본적은 조건문이고, ‘조건식’과 괄호{}로 이루어져 있다. if의 뜻이 ‘만약 ~ 이라면’ 임으로 ‘만일 조건식이 참(true)이면 괄호{} 안의 문장들을 수행하라’라는 의미로 이해하면 된다..
1 | if (조건식) { |
만일 다음과 같은 if문이 있을떄, 조건식 ‘score > 60’이 참(true)이면 괄호{} 안의 문장이 수행되어 화면에 “합격입니다.” 라고 출력되고 거짓(false)이면, if문의 다음 문장으로 넘어간다.
1 | if(score > 60) { |
위 if문의 조건식이 평가되는 과정을 단계별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. 변수 score의 값을 80으로 가정 하면
-> score > 60
-> 80 > 60
-> true
위 조건식의 결과는 ‘true’이므로 if문 괄호{} 만의 문장이 실행된다. 만일 조건식의 결과가 ‘false’이면, 괄호{} 안의 문장은 수행되지 않을 것이다.
조건식
if문에 사용되는 조건식은 일반적으로 비교연산자와 논리연산자로 구성된다. 이미 연산자를 배울 때 알려줬으니 넘어 가도록 하겠다.
조건식을 작성항 때 실수 하기 쉬운 것이, 등가비교 연산자 ‘==’ 대신 대입 연산자 ‘=’를 사용하는 것이다. 예를 들어서 ‘x가 0일 때 참’인 조건식은 ‘x == 0’인데 아래와 같이 실수로 ‘x = 0’이라고 적는 경우도 있다.
if-else문
if-else문은 ‘그 밖에 다른’ 이므로 조건식의 결과가 참이 아닐때, 즉 거짓이면 반환 하는 값이라고 생각하면 좋다.
1 | if (조건식) { |
if-else if 문
위에서 설명한 것에 따르면 if-else문은 2가지 경우 밖에 처리를 못하는데 지금 부터 말하는 if-else if문은 여러게의 조건들을 처리 할 수 있다.
1 | if(조건식) { |
중첩 if문
중첩 if문은 말 그대로 if문을 중첩 해서 사용한다는 말 이다. 점수로 예를 들어보자
90점이 A 라고 하고 90 이상중에서 98점은 A+ 이다
위의 조건을 한번 해보자면 다음과 같아 진다.
1 | if(A >= 90) { |
이런식으로 if문안에 if를 넣는것을 중복 if 라고 한다. 한번에 처리 하기 어렵도 조건이 2개 이상 있으면 사용하기 좋다.
- 작성자: LEE Young Bin
- Github : http://dudqls5271.github.io/2021/10/14/hexo_JAJA07/
- 저작권 : 본 블로그의 모든 글은 특별 성명서를 제외하고, MIT 이선스 협약을 채택하고 있습니다. 복사 할 때 출처를 밝혀주세요!